-
[하승훈 차트의 기본기 #12일차] 주식차트보는법 바닥 잡는법 고점 잡는법 캔들차트보는법하승훈컨텐츠보기/하승훈 차트의 기본기 2022. 9. 28. 07:54
★ 키포인트
고점과 저점을 잡을 수 있는 패턴을 알아보자!아래는 2018년 코스닥의 고점과 저점을 하일라이트한 차트이다. 이번 영상에는 캔들의 패턴으로 고점과 저점을 포착하는 방법이 설명된다..
2018년 코스닥 차트 고점과 저점을 잡을 수 있는 캔들 패턴
◎ 저점을 잡아내는 패턴 망치형 캔들
망치형 캔들 망치형 캔들
'망치형' 캔들은 아래꼬리가 길게 달리고 몸통의 꼬리 상단에 있는 모양이 마치 망치같이 생겼다고 해서 붙인 이름이다.◎ 저점을 잡아내는 패턴 상승장학형 캔들
하락추세가 나온 후에 이전 음봉보다 몸통이 큰 다음 양봉이 나오는것을 상승 장악형이라고 한다.
상승 장학형 캔들 상승장악형
- 양봉 거래량이 급증하게 되면 강력한 신호이다.
- 하락추세의 끝자락에서 나타나며, 향후 상승추세로 돌아설 가능성이 크다.
- 상승자악형의 저가는 향후 지지선 역할한다.상승 장악형 캔들 두개를 하나로 합치면 망치형 캔들이 됨으로 고로 두 캔들은 거의 동일한 패턴이라고 볼 수 있다.
상승 장악형과 망치형 캔들과의 관계 ◎ 고점을 잡아내는 패턴 하락장학형 캔들
하락장악형 캔들은 상승 추세가 나온 후에 이전 양봉보다 몸통이 큰 음봉이 다음에 발생하는 것을 말한다.
- 음봉 거래량이 급증하게 되면 강력한 신호
- 상승 추세의 끝자락에서 나타나며 향후 하락 추세로 돌아설 가능성이 크다.
- 하락장악형의 고가는 향후 저항선 역할
◎ 관통형 캔들
이전봉을 장악하지 못하고 이전봉의 절반 정도 올라갔다고 하면 관통형이다.
관통형 캔들 ◎ 반격형 캔들
이전봉 절반을 못미친 반대방향 봉이 나온경우가 반격형이다.
반격형 캔들 ◎ 별형 캔들
샛별형은 한번 빠진후 다음봉에서 아래에 멈춰있고 그 다음에 반등 상승하는 형태로 3개의 캔들로 구성된다. 샛별형의 두번째 세번째 캔들을 합하면 상승 장악형과 동일하다. 이와 반대로 나타나는 패턴이 저녁별형이다.
샛별형 캔들 캔들 사례
다음은 2018년 1월이후의 코스닥 지수 차트에서 보이는 하락과 상승시의 고점 저점에서의 캔들 형태를 보여준다.
하락 상승지점에서의 캔들 패턴 캔들 형태와 해당 시점의 거래량 변화도 유의해서 본다.
하락 장악형 패턴 출연과 거래량 변화 참고로 아래 차트에 최근 코스닥 시장 급락에서 하락 장악형 캔들이 보이고 거래량 증가와 함께 하락이 더 가팔라 지는 형태가 보여진다.
2022년 9월 코스닥 차트에 나타난 하락 장악형 패턴 다음은 분봉상에서의 약간 변형된 형태의 상승 장악형을 패턴을 나타낸다.
분봉상에 보이는 상승 장악형 캔들 패턴 이 분봉에는 상승시 전형적으로 나타나는 N자형 패턴의 형태가 보인다.
분봉에서의 N자형 패턴과 이어지는 상승 형태를 보이는 차트 다음은 3분봉에서 W 패턴과 상승 장악형 캔들, 5 이평선이 20 이평선을 골든 크로스 하면서 상승하는 모습을 보인다. 매수 지점으로 골든 크로스 하는 부분이 가장 좋을듯 싶다.
3분봉상 상승 장악형 캔들과 시세 파악 방법 캔들 패턴으로 빠르게 시세를 파악하여 스캘핑 또는 단타 트래이딩을 할 수 있다.
N자형 패턴과 거래량 저점과 고점을 잡는 패턴을 알아보자!
답
상승, 하락 장악형인지 샛별형, 저녁 샛별형인지 캔들 패턴으로 빠르게 시세를 파악한다.
가격 캔들과 거래량과의 관계를 추적하여 추후 상승을 예측한다.'하승훈컨텐츠보기 > 하승훈 차트의 기본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하승훈 차트의 기본기 #14일차] 급등주 5일선 이탈 매매법(1) (0) 2022.11.13 [하승훈 차트의 기본기 #13일차] 스윙트레이딩 및 데이트레이딩 단타매매 기법. 주도주 눌림목 매수급소. 10일선 공략 (1) 2022.11.12 [하승훈 차트의 기본기 #11일차] 세력의 흔적을 잡아내는 세력 포착, 세력 패턴, 캔들 분석 (2) 2022.09.26 [하승훈 차트의 기본기 #10일차] 실전매매 고수들의 매매방법 바로 공개. 15분봉 장대양봉 매매기법 (0) 2022.09.23 [하승훈 차트의 기본기 #9일차] (분봉차트 보는법)급등주 단타 매매법. 데이트레이딩 매수포인트 (1) 2022.09.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