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OUT ME

-

Today
-
Yesterday
-
Total
-
  • 24년도 상반기 시장 흐름 일지
    주식시장 스토리 2024. 2. 3. 23:28

    240209 혁신 기업에 투자하는 이유

    AI의 획기적 발전 덕분에 파괴적 혁신 기업의 가치폭발적증가전망 (현재비중16% → 2030년 60% 비중)
    파괴적 혁신 기업들의 향후 7년 연평균 구익률 40%대 예상

    240209 몰래 돈 풀어 위기 막는 중?, 나스닥 상승의 숨은 세력

    • 메타, 직원 2만명 감축, 1인당 매출 급증, AI 알고리즘 덕에 시청시간 +25%
    • 아마존 클라우드 성장세 반등, 역대 최대 규모 해고, 쇼핑 도우미 AI 출시(루퍼스)
    • 미국 자동화 확대, 인공지능 채택등과 같은 전략적 변화에 의해 주도
    • 마소 모든 부문에서 AI 수익 영향 시작
    • 알파벳 유튜브, 구글 클라우드, 구글 검색 성장세
    • 애플, 아쉽게 중국이 발굴, 애플 5분기 만에 역성장 탈출, 중국 부진 지속, 비전프로 생각보다 호응 긍정적, 실사용 후기/활용도 up
    • 당분간 AI로 돈 버는 주식에 쏠릴 가능성
    • ARK AI덕에 혁신 기업의 주가(가치) 상승이 더 가속활될것 같음

    2026년 등장 예정

    240207 연준이 바이든 재선을 위해서 모르게 돈을 풀고 있음

    • 23년 하반기 이후 연준은 사실상 돈을 풀고 있음

    240125 부동산 시장이 붕괴될 수 있는 뇌관, 역전세 위기, 우리가 지금 준비해야 할 것들 / 배문성 이사

    • 미국의 경제가 탄탄하기 때문에 금리 인하는 느리게 할것임
    • 중금리의 장기화가 예상됨(집갑은 전세가율과 실제가격의 갭이 줄었을때 살때임, 전세가격이 집값의 70~80% 사이)
    • 전세수요에서 집을 사는것은 자녀가 초등학교 다닐때 많이 이뤄지는데, 향후 초등학교 학생수 감소가 이뤄지므로 집값도 동반 하락할 가능성이 있음

    240203 문장주 / 문스타인베스트먼트 대표 [MTN 머니투데이방송]

    • "연착륙은 없다" 한미 증시, 강한 충격에 대비하라
    • FOMC 파월 3월 피벗 일축
    • 유동성이 말라가고 있음
    • 연준은 물가가 확실히 떨어질때까지 기다리겠다.
    • "미 달러 마르는 중"
    • 지급준비금이 명목GDP 대비 10%일때 양적 긴축 감속 계획(현재 14%정도)
    • 시장은 RRP 잔고가 2024년 3Q 될수 있음 그래서 양적긴축 감속 시점이 더 훗날 예상됨
    • "미 재무부의 채권발행 축소는 유동성 삭제" 의미

    돈은 정부의 부채라고 생각됩니다.
    정부가 채권을 찍어내면 시중에서는 채권을 사니 민간은 자산을 확보하게 되고 유동성이 공급되는 형태가 됩니다.
    23년에는 재무부에서 단기채를 많이 찍어서 유동성을 많이 공급했습니다.
    24년도에는 단기물보다도 장기물 발행이 많을수 있음으로 유동성이 감소할 수 있습니다.

     

    • 장기국채를 많이 발행한다는 것은 단기국채 발행이 준다는 의미고 이는 유동성 감소이며 주식시장에는 악영향을 미침

    • 미국 240131의 자금조달계획(QRA)에 따르면 2분기 시장에 유통되는 단기국채는 3,000 감소 예정이며 장기 국채는 3,050 증가 예정
    • 미국의 금리 상승기에는 중국은 금리인하를 할 수 없음
    • "연착류은 없다" 한미 증시, 강한 충격에 대비하라
    • 미 2월 하락 예상

     

    240503 금리를 인상하는데 FINANCIAL CONDITION은 완화됬던 이유?

    1) 장기금리
    2) 적자재정 운영(국채 발행)
    3) BTFP 등을 통한 CREDIT RISK 관리

    April 2024 QRA 결과
    - 중장기물 발행 추세
     장기금리가 하락하면 QE를 하는 효과가 있음, 장기금리가 하락하면 주식의 멀티플이 올라갈 수 있음
     주식이나 부동산 가격이 내려가야 웰스 이펙트가 없앨수 있음
     장기금리가 상승하면 자산 버블을 없앨 수 있음
     연준 2008년 양적완화를 통해 좋아졌을때

    재무부 Buyback
    - Buyback은 자사주 매입과 비슷함
      재정 적자인 상황에서 Buyback임
    - Buyback을 하기 위한 미 재무부가 돈을 마련하는 방법
      1) 단기채 발행, 장기채 매입
         20년전 실행했던 방법으로, 유동성 공급효과가 있으나 연준의 자산은 늘지 않음, 연준의 오퍼레이션 트위스트와 유사
     --> 자산가격 부양 효과
      2) on the run - off the run, 동일한 만기의 채권을 발행하고 매입하는 경우
      이 방법으로 하는것으로 결정
    - Buyback 이유
      FY24 Q3 계획에 따르면 단기채 발행을 줄일 예정
      앨런은 물가는 두고 성장을 높여서 희석시키려는 경향이 있음
      채권 투자자에게 긍정적인 효과가 있음
      금리가 오르면서 기존 채권자는 손실이 나는데 buy백은 채권자의 손절을 도와주는 효과가 있음
      장단기 금리 역전으로 미 중소형 은행의 손실이 많은데 채권 투매를 할 수도 있는데, 이를 준비하기 위함임
     

    '주식시장 스토리' 카테고리의 다른 글

    돈을 버는 방법  (0) 2024.03.01
    24년 2월 주식시장 스토리  (1) 2024.02.05
    240112 금  (0) 2024.01.14
    240105 금  (1) 2024.01.13
Designed by Tistory.